반갑습니다. 국어하는 기미재입니다.
고등학교 수준의 기초 문법 시리즈를 연재할 예정입니다.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오류는 언제든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주성분 중 주어, 서술어에 대한 내용이 끝나고, 목적어에 대한 내용입니다. 가볍게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검색어 유입 순위를 보면 많은 분들이 대명사 중 '미지칭/부정칭'에 대한 내용이 헷갈려서 들어오신 분들이 많습니다. 개인적인 바람으로는 제가 쓰는 글의 순서를 주욱 타고 오는 것이지만... 해당 내용으로 도움이 된다면 기쁘기는 합니다. 한 번 리마인드를 하자면 제가 쓰고 있는 글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형태론 - 국어 9품사와 품사 기초 개관 ~ 품사 9. 수식언 - 부사, 관형사
2. 통사론 - 문장과 문장성분의 기초 개관 ~ 지금까지.
언어와 매체의 경우 절대적인 개념 암기가 중요합니다. 그러나 저는 거기에 하나 더 추가하여 암기의 '순서'까지 굉장히 중요하게 역설해오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의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목적어 파트 이어나가겠습니다!
목적어 : 서술어의 대상이 되는 부분
목적어는 서술어의 대상이 되는 부분입니다.
서술어의 대상이라함은 다음과 같은 예시로 생각해보시는게 좋습니다.
① 나는 밥을 먹는다.
앞서 서술어파트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우리는 문장성분을 찾을 때 서술어 - 주어 순으로 찾게 됩니다. 여기에 서술어를 찾았다면 서술어의 대상을 찾는 내용입니다. 해당 문장에서 먹는다. 라는 동사의 대상이 나는이 된다면 나를 먹는 문장이 되는겁니다. 너무도 당연하게 먹는 대상은 밥입니다. 주체와의 구분이 중요합니다. 서술어를 찾았다면 먹는 주체, 먹는 대상을 찾으면 그게 바로 주어, 목적어가 되는 내용입니다. 간단하죠?
② 나는 맛있는 것을 먹었다.
고민하시지 않아도 됩니다. 내가 먹은 대상은 맛있는도 아니고, 것도 아닙니다. 맛있는 것을 먹은거죠. 해당 문장의 목적어는 맛있는 것입니다. 구의 단위도 목적어가 될 수 있습니다.
③ 나는 희재만 좋아해.
좋아하는 대상은 내가 아니라 희재입니다. 목적어는 희재만이 되겠습니다. 목적격 조사(을/를)을 보조사로 대체한 경우입니다. 이를 통해 목적격조사는 보조사로 대체 가능함을 알게 되었습니다.
④ 희재가 (여성들을) 울렸다.
울린 대상은 여성들을 입니다. 해당 내용을 굳이 기술하는 이유는 목적어가 있는 서술어는 당연히 타동사겠지요? 어려운 내용은 아닙니다.
⑤ 희재는 (술을) 잘 마신다.
윗 문장과 유사한 내용으로, 한국어에서 목적어는 생략되었을 경우 대다수가 매우 어색한 문장이 됩니다. 생략이 불가능합니다.
⑥ 희재는 일이 불합리함을 참지 못했다.
구가 목적어 자리에 들어갈 수 있음과 마찬가지로 문장도 목적어가 될 수 있습니다. 원형은 일이 불합리하다에 우리가 배웠던 명사형전성어미를 사용한 용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⑦ 나는 희재 좋아.
역시나 좋은 대상이 희재기 때문에 희재가 목적어입니다. 우리의 시험 상황에서는 나올 일이 없다고 생각하지만 목적격조사는 생략이 가능합니다.
한 번에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목적어는 서술어의 대상이다.
② 구/절의 단위도 목적어가 될 수 있다.
③ 목적격조사(을/를)은 보조사로 대체할 수 있다.
④ 목적격조사는 생략하여 사용할 수 있다.
⑤ 목적어는 생략할 수 없다. (비문)
⑥ 목적어가 있으니 당연히 해당 문장의 서술어는 타동사이다.
'국어 문법 > 통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장성분 5. 부속성분 - 부사어 (1) | 2024.10.04 |
---|---|
문장성분 4. 주성분 - 보어 (5) | 2024.10.02 |
문장성분 2. 주성분 - 서술어, 서술어의 자릿수 (10) | 2024.09.28 |
문장성분 1. 주성분 - 주어 (2) | 2024.09.25 |
문장과 문장성분의 기초 개관 (0) | 2023.04.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