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국어하는 기미재입니다.
고등학교 수준의 기초 문법 시리즈를 연재할 예정입니다.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오류는 언제든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주성분이 끝나고 부속성분에 대한 내용입니다. 부사어 - 관형어를 다룰 계획입니다.
검색어 유입 순위를 보면 많은 분들이 대명사 중 '미지칭/부정칭'에 대한 내용이 헷갈려서 들어오신 분들이 많습니다. 개인적인 바람으로는 제가 쓰는 글의 순서를 주욱 타고 오는 것이지만... 해당 내용으로 도움이 된다면 기쁘기는 합니다. 한 번 리마인드를 하자면 제가 쓰고 있는 글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형태론 - 국어 9품사와 품사 기초 개관 ~ 품사 9. 수식언 - 부사, 관형사
2. 통사론 - 문장과 문장성분의 기초 개관 ~ 지금까지.
언어와 매체의 경우 절대적인 개념 암기가 중요합니다. 그러나 저는 거기에 하나 더 추가하여 암기의 '순서'까지 굉장히 중요하게 역설해오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의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부사어 파트 이어나가겠습니다.
부사어: 서술어, 관형어, 부사어, 문장 전체 등을 수식해주는 성분
부사어와 관형어의 차이는 수식의 범주입니다. 관형어는 체언을 수식하는 역할에 그치는 반면, 부사어는 매우 다양한 범위의 성분(거의 모든)을 수식합니다. 잘 모르면 부사어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ㅋㅋ)
또한 부사어가 될 수 있는 순위도 다양하게 있습니다. 예시로 같이 보겠습니다.
① 희재가 참 예쁘다.
주어 서술어로 구성이 된 문장에서 참이라는 부분은 예쁘긴 예쁜데, 참 예쁘다.와 같이 예쁘다를 꾸며주고 있습니다. 다른 분들은 '용언을 꾸민다'라고 이야기를 하지만, 저는 서술어를 꾸민다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서술어가 포함하는 범주가 훨씬 더 넓기 때문입니다. 서술어를 수식하는 예시입니다.
② 희재가 우연히 주운 가방은 못생겼다.
우연히라는 부사가 관형어 주운을 수식하고 있습니다. 관형어를 수식하는 예시입니다.
③ 희재는 너무 힘들게 그 자리까지 올라갔다.
너무가 힘들게라는 부사어를 수식하고 있습니다. 부사어를 수식하는 예시입니다.
④ 오직 나만이 승리로 이끌 수 있다.
제가 좋아하는 다리우스의 대사입니다. 체언을 수식하는 예시인데, 논란이 조금 있는 부분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부사어/부사가 체언을 수식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 생각은 지금도 변함이 없습니다. 체언을 수식할 수 있으니 목적어, 주어, 보어 등 다양하게 수식할 수 있겠죠? (문장성분의 범주라면)
⑤ 설마 김희재를 못 본건 아니지?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부사어의 예시입니다. 어렵지 않습니다!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그냥 다 꾸민다고 생각해도 좋습니다.
또한 부사어가 될 수 있는 유형들이 있습니다. 그토록 강조하던 품사 파트를 충실하게 진행한 학생들이라면 어렵지 않았으리라 생각합니다. 해당 설명들에 대한 내용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읽어보시면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국어 문법 > 통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장 - 문장의 짜임새 개관 (0) | 2024.10.07 |
---|---|
문장성분 6. 부속성분 - 관형어 (0) | 2024.10.06 |
문장성분 4. 주성분 - 보어 (5) | 2024.10.02 |
문장성분 3. 주성분 - 목적어 (1) | 2024.10.01 |
문장성분 2. 주성분 - 서술어, 서술어의 자릿수 (10) | 2024.09.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