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 문법/통사론

문장성분 5. 부속성분 - 부사어

by 희재짱짱123 2024. 10. 4.
반응형

반갑습니다. 국어하는 기미재입니다.

고등학교 수준의 기초 문법 시리즈를 연재할 예정입니다.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오류는 언제든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주성분이 끝나고 부속성분에 대한 내용입니다. 부사어 - 관형어를 다룰 계획입니다.

검색어 유입 순위를 보면 많은 분들이 대명사 중 '미지칭/부정칭'에 대한 내용이 헷갈려서 들어오신 분들이 많습니다. 개인적인 바람으로는 제가 쓰는 글의 순서를 주욱 타고 오는 것이지만... 해당 내용으로 도움이 된다면 기쁘기는 합니다. 한 번 리마인드를 하자면 제가 쓰고 있는 글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형태론 - 국어 9품사와 품사 기초 개관 ~ 품사 9. 수식언 - 부사, 관형사

 

2. 통사론 - 문장과 문장성분의 기초 개관 ~ 지금까지.

 


 언어와 매체의 경우 절대적인 개념 암기가 중요합니다. 그러나 저는 거기에 하나 더 추가하여 암기의 '순서'까지 굉장히 중요하게 역설해오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의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부사어 파트 이어나가겠습니다.

 


문장성분의 구조도입니다.

 

부속성분의 내용입니다.

 

 

부사어: 서술어, 관형어, 부사어, 문장 전체 등을 수식해주는 성분

 

 

부사어와 관형어의 차이는 수식의 범주입니다. 관형어는 체언을 수식하는 역할에 그치는 반면, 부사어는 매우 다양한 범위의 성분(거의 모든)을 수식합니다. 잘 모르면 부사어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ㅋㅋ)

 

또한 부사어가 될 수 있는 순위도 다양하게 있습니다. 예시로 같이 보겠습니다.

 

① 희재가 예쁘다.

 

주어 서술어로 구성이 된 문장에서 참이라는 부분은 예쁘긴 예쁜데, 참 예쁘다.와 같이 예쁘다를 꾸며주고 있습니다.  다른 분들은 '용언을 꾸민다'라고 이야기를 하지만, 저는 서술어를 꾸민다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서술어가 포함하는 범주가 훨씬 더 넓기 때문입니다. 서술어를 수식하는 예시입니다.

 

② 희재가 우연히 주운 가방은 못생겼다.

 

우연히라는 부사가 관형어 주운을 수식하고 있습니다. 관형어를 수식하는 예시입니다.

 

③ 희재는 너무 힘들게 그 자리까지 올라갔다.

 

너무가 힘들게라는 부사어를 수식하고 있습니다. 부사어를 수식하는 예시입니다.

 

오직 나만이 승리로 이끌 수 있다.

 

제가 좋아하는 다리우스의 대사입니다. 체언을 수식하는 예시인데, 논란이 조금 있는 부분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부사어/부사가 체언을 수식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 생각은 지금도 변함이 없습니다. 체언을 수식할 수 있으니 목적어, 주어, 보어 등 다양하게 수식할 수 있겠죠? (문장성분의 범주라면)

 

설마 김희재를 못 본건 아니지?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부사어의 예시입니다. 어렵지 않습니다!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그냥 다 꾸민다고 생각해도 좋습니다.

 

부사어의 수식 범주입니다.


 

또한 부사어가 될 수 있는 유형들이 있습니다. 그토록 강조하던 품사 파트를 충실하게 진행한 학생들이라면 어렵지 않았으리라 생각합니다. 해당 설명들에 대한 내용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읽어보시면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