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국어하는 기미재입니다.
고등학교 수준의 기초 문법 시리즈를 연재할 예정입니다.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오류는 언제든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주성분 중 주어에 대한 내용이 끝나고, 서술어에 대한 내용입니다. 가볍게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검색어 유입 순위를 보면 많은 분들이 대명사 중 '미지칭/부정칭'에 대한 내용이 헷갈려서 들어오신 분들이 많습니다. 개인적인 바람으로는 제가 쓰는 글의 순서를 주욱 타고 오는 것이지만... 해당 내용으로 도움이 된다면 기쁘기는 합니다. 한 번 리마인드를 하자면 제가 쓰고 있는 글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형태론 - 국어 9품사와 품사 기초 개관 ~ 품사 9. 수식언 - 부사, 관형사
2. 통사론 - 문장과 문장성분의 기초 개관 ~ 지금까지.
언어와 매체의 경우 절대적인 개념 암기가 중요합니다. 그러나 저는 거기에 하나 더 추가하여 암기의 '순서'까지 굉장히 중요하게 역설해오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의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서술어 파트 이어나가겠습니다!
서술어 : 주어의 동작, 상태, 성질을 서술(설명)하는 부분
서술어는 주어의 동작이나 상태, 성질을 서술(설명)하는 부분이라고 서술해두었습니다. 서술어를 찾는 것은 수능을 준비하는 재수생들도 한 번씩 헷갈리는 부분이기에 강조할 말이 있습니다. '서술성'에 대한 강조입니다.
서술성이란, 무언가를 설명할 수 있는 성질을 말합니다. 단순 암기로 진행하지 않기에 해당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귀엽다, 예쁘다, 아름답다, 사랑스럽다, 미남이다, 가련한 등등 엄청나게 많으리라 생각합니다. 서술어를 파악하는 것은 해당 서술성에 대한 파악이 필요합니다. 주로 이런 서술성은 동사나 형용사가 갖기에 동사 형용사는 당연히 서술어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주어가 어떤 상태인지 서술하는 부분을 서술어부라고 설명합니다. 역시나 이 부분도 단순한 / 지리멸렬한 암기로 처리하는 부분은 아닙니다. 서술어 자리에 들어갈 수 있는 것들은 동사, 형용사, 체언+서술격조사(이다), 서술절... 등의 암기를 지양하자라는 의미입니다.
앞선 글과 같이 서술어를 찾고, 이 서술어가 설명하는 주체가 어디인지를 찾아서 서술어와 주어를 찾아버리는게 가장 간단하고, 강력한 방법입니다. 왜냐구요? 홑문장(주어+서술어)만 구성된 경우에는 어느정도의 암기로 찾을 수 있지만 문장이 길고, 수식어가 덕지덕지 붙어있고, 어지러운 구성의 그 것은 암기로 처리하는 내용이 아닙니다. 의미를 파악하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역시나 예시 들어갑니다.
① 희재가 예쁘다.
예쁜 주체는 희재입니다. 이 희재의 예쁜 성질을 설명해주는 부분은 예쁘다 입니다. 서술어가 됩니다. 형용사가 서술어로 쓰인 예시입니다.
② 희재가 밥을 먹는다.
희재의 상태를 설명하는 부분은 먹는다. 입니다. 먹는다 부분이 서술어가 되겠습니다. 밥을 부분이 서술어가 되어버리면 희재의 상태나 성질이 밥이 되어버립니다. 동사가 서술어로 쓰인 예시입니다.
③ 희재는 미남이다.
희재의 성질을 설명하는 부분은 미남이다. 입니다. 희재가 어떤 성질을 갖고 있는지 설명하고 있습니다. 미남이라는 체언에 이다라는 서술격조사가 합쳐져서 쓰인 예시입니다.
④ 나는 길을 걷다가 너를 보았다.
문장 전체의 의미를 보았을 때 서술어는 보았다.가 되겠습니다. 근데 본 주체가 누구일까요? 누가 보았을까요? 누구를 본게 아닌, 누가 '보았는가'를 찾는게 주어입니다. 본 주체는 나입니다. 그래서 문장 전체의 주어는 나가 되겠습니다.
후술할 문장의 짜임새 부분에서 더 이야기하겠지만, 해당 문장은 겹문장 (주어+서술어가 2개 이상)입니다. 그래서 생략된 부분을 드러내고, 온전한 문장으로 고치면 다음과 같은 관계가 됩니다.
④ 나는 길을 걷- + -다가 + 나는 + 너를 + 보았다.
편의상 모든 형태소를 분석하지 않고, 두 개의 문장이 있다는 것만 드러내며 사이의 연결어미를 쪼개놓았습니다. 나는 길을 걷다. 라는 문장과 나는 너를 보았다. 라는 문장 두 개가 합쳐진 문장이겠습니다. 여기에서 두 개 문장의 서술어는 여러분들도 쉬이 찾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걷다, 보았다 가 되겠습니다.
⑤ 희재는 어려운 남자다.
조금 어렵습니다. 문장 전체의 서술어는 희재의 성질을 남자다라고 설명하고 있으니 서술어 찾기는 땅짚고 헤엄치는 것만큼 쉽습니다. 그러나 어려운 부분이 걸립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성질을 서술하는 서술성에 주목하셔야합니다. 어렵다라는 성질을 설명하니 눈여겨보아야합니다. 물론 뒤에 따라오는 남자를 꾸며주고 있기에 관형어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서술성이 있으니 그냥 지나칠 수는 없습니다. 역시나 이 문장도 원래 문장으로 풀어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⑤ 희재는 ( 희재는 어렵- + - 관형사형 전성어미(ㄴ) ) + 남자다.
이제 보이시나요? 어려운 주체는 희재였습니다. 주체인 희재의 성질을 어렵다라고 서술하고 있기 때문에 어려운도 안에 있는 문장에서는 서술어로 작용합니다. (전체 문장에서는 관형어입니다.) 관형절에서 생략되는 문장성분을 찾는 것도 빈출포인트이기에 눈여겨보시는게 좋습니다. ㅂ불규칙을 찾는 것도 재미가 있었겠습니다. ㅋㅋ
⑥ 희재는 팔이 길다.
흔히 말하는 서술절의 이야기입니다. (문장의 짜임새 부분에서 계속 이어나갑니다.) 재미있는 문장입니다. 문장의 구조상 서술어가 맨 뒤에 위치해있을거니까 서술어는 왠지 길다가 맞는 것 같은데. 긴 주체를 희재라고 설정해버리면 원래 문장의 의미와 달라집니다. (희재는 길다. ㅋㅋ)
해당 문장은 희재라는 주체의 성질을 어떤 것이 서술하고 있는 지를 눈여겨보아야합니다. 희재의 성질을 설명하는 부분은 어디일까요? 맞습니다. 팔이 길다. 부분입니다. 또한 해당 팔이 길다 부분은 주어와 서술어로 구성된 서술절입니다. 재미 있으셨나요?
빈출 부분이기에 줄을 따로 그었습니다. 서술어의 자릿수에 관한 내용입니다.
서술어의 자릿수: 한 문장에서 서술어가 반드시 필요로 하는 문장성분의 개수
진짜 헷갈리고 어렵습니다. 그리고 내신뿐만 아니라 수능에서도 자주 출제되는 내용입니다.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문법을 우리의 평소 언어생활에 빗대어 생각하기에
'어? 이거는 그냥 이대로 써도 될 것 같은데?'
와 같은 기준으로 판단하기에 그렇습니다. 그러나 우리 일상에서 쓰는 언어생활에는 비문도 쉽게 통용되기 때문에 그러한 기준으로 판단하면 안됩니다. 오답을 고르는 기준 중에서 가장 많이 드러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비가 내린다.
해당 문장은 주어 + 서술어로 구성된 완벽한 문장입니다. 비가 예쁘게 내린다, 비가 거세게 내린다. 등의 비가 어떻게 내리는 지를 꾸며주는 내용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② 희재가 던졌다.
라는 문장은 무언가 어색합니다. 이럴 때 문장을 완벽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어떤게 필요할까요? 무엇을 던졌는가? 에 대한 내용을 추가해주어야합니다.
③ 희재가 공을 던졌다.
라는 문장은 옳게 된 문장입니다. 서술어의 자릿수란 이런겁니다. 문장에서의 서술어가 몇 개의 문장 성분을 요구하는 지를 찾는 내용이라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서술어의 자릿수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서술어의 자릿수를 구분하는 팁은 크게 없기는 하지만.. 해당 서술어에 주어를 넣어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예 : 먹는다. - 희재가 먹는다 (이상함) - 희재가 밥을 먹는다 / 희재가 맛있게 먹는다. - '밥을'이 필요하네. 목적어
또한 자릿수의 통용이라는 개념도 알아두면 좋습니다. 같은 서술어임에도 맥락에 따라 자릿수가 다르게 쓰이는 내용입니다.
해당 자릿수의 통용은 관련 깊은 개념이 있습니다. 자동사 / 타동사 / 능격동사(중립동사)입니다. 자동사, 타동사에 대한 개념은 위의 내용에 있으니 생략하자면 능격동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능격동사 : 문장의 맥락에 따라 자동사로도, 타동사로도 쓰일 수 있는 동사
자세히 보시면 같은 동사임에도 어형의 변화(형태의 변화)없이 두 가지의 맥락으로 쓰이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개념도 문제에 나오는 경우(사설 모고, N제)가 잦으니 알아두시면 도움이 됩니다!
'국어 문법 > 통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장성분 5. 부속성분 - 부사어 (1) | 2024.10.04 |
---|---|
문장성분 4. 주성분 - 보어 (5) | 2024.10.02 |
문장성분 3. 주성분 - 목적어 (1) | 2024.10.01 |
문장성분 1. 주성분 - 주어 (2) | 2024.09.25 |
문장과 문장성분의 기초 개관 (0) | 2023.04.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