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국어하는 기미재입니다.
고등학교 수준의 기초 문법 시리즈를 연재할 예정입니다.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오류는 언제든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주성분이 끝나고 부속성분에 대한 내용입니다. 부사어 - 관형어를 다룰 계획입니다.
검색어 유입 순위를 보면 많은 분들이 대명사 중 '미지칭/부정칭'에 대한 내용이 헷갈려서 들어오신 분들이 많습니다. 개인적인 바람으로는 제가 쓰는 글의 순서를 주욱 타고 오는 것이지만... 해당 내용으로 도움이 된다면 기쁘기는 합니다. 한 번 리마인드를 하자면 제가 쓰고 있는 글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형태론 - 국어 9품사와 품사 기초 개관 ~ 품사 9. 수식언 - 부사, 관형사
2. 통사론 - 문장과 문장성분의 기초 개관 ~ 지금까지.
언어와 매체의 경우 절대적인 개념 암기가 중요합니다. 그러나 저는 거기에 하나 더 추가하여 암기의 '순서'까지 굉장히 중요하게 역설해오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의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관형어 파트로 문장성분을 마무리하겠습니다.
관형어 : 문장성분 내에서 체언만 수식하는 성분
관형어는 체언만 수식합니다. 해당 내용에서 의문을 느끼셔야 옳습니다.(ㅋㅋ) 왜냐구요? 우리는 지금 문장성분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어? 체언은 품사 단위인데 왜 문장성분에서 갑자기 품사 단위만 수식한다고 할까? 의 의문이 자연스러운 흐름이라는 뜻입니다. 다음 예시로 살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예쁜 희재가 밥을 먹는다.
해당 문장에서 예쁜 이라는 관형어는 희재가 를 수식하는 것이 아닌, 희재 를 수식합니다. 이와 같이 문장성분의 단위에서도 체언만을 수식하는 성분을 관형어라고 부릅니다. 수식의 범주에 주의하시는게 필요합니다. 예시로 같이 보겠습니다.
① 모든 사람은 사랑받아야 마땅하다.
품사 단위에서 다루었던 관형사 그 자체가 관형어가 될 수 있습니다. 어렵지 않습니다. 역시나 후행하는 사람을 수식하고 있습니다.
② 아름다운 사람은 사랑받아야 마땅하다.
우리가 품사에서 계속 이야기했지만, 아름다운 이라는 단어는 형용사 아름답다의 어간에 관형사형 전성어미가 붙은 형태입니다. 즉, 사람을 수식하고 있지만 품사는 형용사라고 보아야합니다. 그러나 문장성분에서는 후행하는 사람을 수식하고 있기에 관형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품사는 형용사, 문장성분은 관형어. 잘 기억해주시면 좋겠습니다.
③ 우리가 먹은 빵은 딱딱했어.
하나의 문장도 관형어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빵은 빵인데, 우리가 먹은 빵이라고 수식해주고 있습니다. 이런 문장의 형태를 관형절이라고 부르고, 원래 문장의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리가 빵을(생략) 먹- + -은
즉, 하나의 문장도 관형어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④ 우연히 학교 친구를 길에서 마주쳤다.
체언도 그 자체로 관형어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친구는 친구인데 학교 친구와 같이 친구를 수식하는 말이 학교입니다.
⑤ 우리의 믿음은 언제까지나 영원할거야.
체언 + 관형격조사 의가 쓰인 관형어입니다. 어렵지 않습니다. 믿음은 믿음인데, 우리의 믿음입니다. 해당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해당 내용 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따로 있습니다. 바로 관형어의 범주가 어디에 속해있냐에 대한 내용입니다. 문장의 용례로 바로 살펴보겠습니다.
정석적인 내용으로 다루자면 해당 괄호는 주어부로 처리하는 것이 맞습니다. 다만 일부 학교의 내신에서 해당 내용을 관형어 + 주어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여러분들이 반드시 알아두어야하는 것은, 관형어는 다른 문장성분에 숨을 수 있다. 라는 내용을 알아두시면 도움이 됩니다. 층위가 다르다는 이야기입니다.
다음 내용부터는 문장의 짜임새부분으로 이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국어 문법 > 통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장 - 문장의 짜임새 개관 (0) | 2024.10.07 |
---|---|
문장성분 5. 부속성분 - 부사어 (1) | 2024.10.04 |
문장성분 4. 주성분 - 보어 (5) | 2024.10.02 |
문장성분 3. 주성분 - 목적어 (1) | 2024.10.01 |
문장성분 2. 주성분 - 서술어, 서술어의 자릿수 (10) | 2024.09.28 |
댓글